Copyright 2021

Cosmos Dabang, Installation view, 2016

Cosmos Dabang, 2016-2018
Organised by Peach flower, Collective Work

Cosmos Dabang: experimental art dabang where wacky and vagarious activities are happening with ordinary things
Peach flower

"Cosmos Dabang" is going to be held at a Lobby gallery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from September 3th through October 5th. “Cosmos Dabang”(henceforth referred to CODA) is a condensed space which has multiple meaning, history, functions and unique interior design. “Dabang”(means coffee house in Korean) has had versatile facets. Once it was a modern space where artists and writers discussed and shared their thoughts about times and art, a music cafe served as a young people’s haven and way out in 1970’s, seniors’ gathering place for old memory with its previous functions reduced at present. CODA is a venue for meeting times to times, people to people and fine art colliding with popular art. It allows reconstruction and reproduction pursing unlimited possibilities for everything to be art. Various artistic activities happening in this space adopt artistic methodologies free and closely related to ordinary and daily things, crossing boundaries of prototypical art. CODA is an experimental lab, witnessing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and how it fills the gab between art and the general public.

Every ordinary thing is art - Striking extrasensory hybrid performances
Constituent articles (installation) in CODA are artist's work or recycled things. Things that had been dumped, regarded unnecessary or had not been properly recognized its genuine worth because of oftenness were turned into various stuff in dabang including tables, chairs, picture frames and a water tank by artists' touch. These things got new life or newly installed with their original functions changed. A series of projects in CODA focus on daily things as well.
According to Park Hyemin's 'DIY Cocktail Recipe', you can drink any beverage in CODA only when you do some artistic labor. Drama company Sinya's play 'If you were a human' aims at sale in the first place contrary to common practice of making money through staging a play in the theatrical circles. Lee Sooyoung's 'Possessed by Bracken' is to meet dinosaurs in Mesozoic era through the spirit of fern who remembers them. Beck Intae's 'NPC, Trick of villagers' is playing eraser-getting game with online role playing game style. Kim Soohwan's 'Keyboard of curiosity' is about a keyboard seemingly cutting-edge but in fact a person is working inside it so it is very slow and inaccurate. Oh Suk Kuhn's 'Time-honored DJ' is experimenting music related activities ranging from playing various music of generations, showing music appreciation scenes, performances and parties in dabang. Yoon Jeewon's 'The History of Modern Chair' is displaying replicas of historic chairs which were widely duplicated and circulated (Visitors can sit and experience those replicas).
All the shows and performances are harmoniously running in CODA.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re is stage and seats, which one is performance or real everyday affair, who is artist and ordinary people. All boundaries and lines are slowly disappearing in CODA.

Where is art in our times? Paradoxically expressed meaning and value of art
It is well said that contemporary art is difficult and boring. Art is becoming a story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the general public. Perhaps artists themselves may cause this by sticking to a typical model. Art is influenced by many visible and invisible daily stuff. Furniture that we use, houses we live in, daily things, clothes, commercials, posters, movies, books, music are all various forms and languages expressing art. Art is changing a mode of life, expanding thoughts and forming culture and is present in every quarter of life. That means art includes publicness to a certain degree. Then how can artists lead the general public to change perception on art and artists? How can artists effectively convey the value of art which has great influence on life encouraging unlimited imagination, reasoning and diversity? CODA tries to practice and experiment multiple artistic methods using daily stuff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It propagates present reality of artistic labor which produces value but cannot be capitalized in an amusing and paradoxical way.

Normadic dabang, crossing cities to cities with the fuel of brilliant bond of artists
Most of participating artists in this project have been working together for a long time in Incheon. They have made meaningful results including 'Incheon International Vienna Sausage Movie Festival', 'Very That Support' and 'All Gates' showing strong solidarity once under the name of 'Peach flower', now artist collective, 'Revolutionary Art'. Since many factors of cultural and artistic ecology in Incheon are not sufficient, this voluntarily made solidarity is really valuable and its revolutionary power and practical ability are quite strong. The artists have made a ‘framily(friend+family)’ relationship through all those activities and the power and methodology of their sensational bond are spreading through CODA again. A succession of exhibitions at Gawche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2016, Gyeonggi Creation Center and Ddabok house in 2017 and Lobby gallery at Gyoenggi Cultural Foundation in 2018 are endeavor for CODA to expand and reproduce the common value by moving and connecting to find another center rather than focusing on Seoul.

예술인 듯 예술 아닌 듯 일상을 엉뚱하게 굴리고 실험하는 예술다방
복숭아꽃

9월 3일부터 10월 5일까지 경기문화재단 로비갤러리에서 프로젝트 『코스모스다방』이 열린다. 『코스모스다방』은 예술가들이 모여 시대와 예술을 논하고 공유하던 근대의 다방에서부터 70년대 청년들의 해방구였던 음악다방 그리고 노인들이 드나드는 추억의 공간으로 그 기능이 축소된 현재의 다방까지 각각의 역사, 의미, 기능 그리고 인테리어가 압축된 공간이다. 이곳은 시대와 시대가 사람과 사람이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 만나고 충돌하는 곳으로 재생과 재조립이 가능하며 모든 것이 예술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을 지향한다. 공간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예술적 행위 또한 전형의 미술을 넘나드는 경계의 예술 즉 자유로운 형태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된 예술적 방법론을 차용한다. CODA는 이 시대의 예술이 어떠한 가능성을 품고 있는지 시대의 과제인 예술과 대중의 간극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목격할 수 있는 실험실이라 할 수 있다.

일상 모든 것이 예술 _ 뇌리를 때리는 초감각 혼종 퍼포먼스
『코스모스다방』 내 구성품(설치물)은 작가의 작품 또는 재활용품으로 구성된다. 버려진 것, 쓸모없거나 너무 익숙해서 그 가치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 예술인들의 생활감각 또는 예술감각에 의해 테이블, 의자, 액자, 수조 등 다방의 일상용품으로 새 생명을 얻거나 그 본래의 기능이 치환하여 공간에 설치된다. 다방에서 펼쳐지는 여러 예술 프로젝트 또한 모두 일상적인 것을 소재로 한다. 일정한 예술적인 노동을 수행해야 다방에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박혜민 작가의 'DIY 칵테일 레시피', 연극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 아닌 판매를 위해 연극을 하는 극단 신야의 '본격판매연극_니가 인간이 라면', 중생대 사우로스들을 만나기 위해 사우로스들을 기억하는 고사리 영(靈)에 접신하는 이수영 작가의 '고사리 접신', 롤플레잉 게임 등 온라인 게임의 특징과 룰을 오프라인으로 불러와 지우개 따먹기를 하는 백인태 작가의 'NPC 마을주민의 농간', 시리 등 최첨단 궁금증 자판기 같지만, 그 안에 사람이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느리고 부정확한 김수환 작가의 '궁금증 자판기' 다방에서 울려 퍼졌던 시대별 음악을 엮어 플레이 하거나 다방 내 음악감상, 공연, 파티 등 가능한 음악적 활동을 다채롭게 실험하고자 하는 오석근 작가의 '뿌리 깊은 디제이', 현대적 의자의 역사에서 기념비적 의자를 꼽고, 이 중 국내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모조품을 꼽아 전시하며 더불어 다방에 오는 이들이 앉을 수 있게 하는 윤지원 작가의 '현대 의자의 역사' 등이 그러하다. 이런 다양한 예술 퍼포먼스는 다방 내에서 동시에 조화롭게 진행된다. 어디가 무대이고 객석인지, 이것이 퍼포먼스인지 일상인지, 누가 예술인이고 일반인인지 구분이 안 된다. 코스모스 다방에서 다양한 경계가 서서히 사라진다.

우리 시대 예술은 어디에 있나? 역설적으로 풀어내는 예술의 의미와 가치
'현대미술 어렵고 재미없다'라고 많은 이들이 이야기한다. 대중에게 예술은 언제부터인가 우리의 삶과 상관없는 이야기가 되어 가고 있다. 이는 예술인 스스로 전형을 고수하기에 고립을 자초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사실 예술은 일상의 수많은 것, 유형 혹은 무형의 것에 영향을 주고받지 않은 것이 없다. 내가 사용하는 가구, 사는 집, 일상의 사물, 입고 있는 옷, 보고 듣는 광고, 포스터, 영화, 책, 음악 등 예술은 다양한 언어와 형태로 삶의 양식을 바꾸고 사고를 확장하고 문화를 형성하며 삶 곳곳에 포진한다. 이는 대부분 예술이 일정 부분 공공성을 내포한다는 의미이기도 한데 이러한 상황에 우리는 대중으로부터 어떻게 예술과 예술인의 존재에 대한 인식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예술의 무한한 상상력과 사유 그 다양성 등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그 예술의 가치를 어떻게 하면 쉽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코스모스다방』은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일상을 매개로 다양한 예술적 방법을 실행하고 실험한다. 예술노동이 가치를 생산하더라고 자본화되지 못하는 작금의 현실이 유쾌하고 또 역설적 전파된다.

예술인들의 빛나는 연대를 연료로 도시와 도시를 넘나드는 노마딕 다방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부분 작가는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활동하며 호흡을 맞춰 왔다. 때론 '복숭아꽃'을 중심으로 현재는 아티스트 콜렉티브 인 '회전예술'을 중심으로 지역 내 유의미한 결과물 『인천국제비엔나소시지영화제』, 『바로 그 지원』, 『올 게이츠』 등을 만들며 연대해왔다. 문화예술생태계의 많은 요소가 부족한 인천이기에 자생적으로 형성된 연대는 소중한 것은 물론 강한 회전력과 응용력을 가진다. 가족이라 하기엔 멀고 남이라 하기엔 가까운 이 환상적인 연대의 힘과 그 방법론은 '코스모스 다방'을 통해 다시 확산된다. 2016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2017년 경기창작센터, 따복하우스, 2018년 경기문화재단 로비갤러리를 통해 문화의 중심이라 외치는 서울이 아닌 또 다른 중심을 찾아 이동하고 연대하며 공유의 가치를 확대, 재생산한다.